1912번: 연속합
첫째 줄에 정수 n(1 ≤ n ≤ 100,000)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주어진다. 수는 -1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www.acmicpc.net
💡문제
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임의의 수열이 주어진다. 우리는 이 중 연속된 몇 개의 수를 선택해서 구할 수 있는 합 중 가장 큰 합을 구하려고 한다. 단, 수는 한 개 이상 선택해야 한다.
예를 들어서 10, -4, 3, 1, 5, 6, -35, 12, 21, -1 이라는 수열이 주어졌다고 하자. 여기서 정답은 12+21인 33이 정답이 된다.
입력
첫째 줄에 정수 n(1 ≤ n ≤ 100,000)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n개의 정수로 이루어진 수열이 주어진다. 수는 -1,000보다 크거나 같고, 1,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.
출력
첫째 줄에 답을 출력한다.

풀이💬
문제에서 연속된 몇 개의 수를 선택해서 가장 큰 합을 구하라고 하는데 나는 11 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ㅇㅅㅇ 도대체 왜 예제 출력2 값이 14가 나오는지 미궁속에 빠졌다 ㅠㅠ다른 글을 참고해서 원리를 알 수 있었는데 합이 마이너스(음수)가 나오면 0으로 초기화 시키고 다시 더해가면 된다.
예제 입력 2를 풀면 2+1 = 3 → 3+(-4) = -1 → 0 → 3 + 4 = 7 → 7+(-4) = 3 → 3 + 6 = 9 → 9 + 5 = 14
최댓값을 dp 에 저장하고 전(i-1)에 저장한 값이랑 비교해서 최댓값을 새로 저장해주면 된다.
n = int(input())
num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dp = [num[0]] * n
for i in range(1, n):
dp[i] = max(dp[i-1] + num[i], num[i])
print(max(dp))
'알고리즘 문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2529번.부등호(브루트포스,백트레킹) (2) | 2024.01.09 |
---|---|
[Python]11722번.가장 긴 감소하는 부분 수열(DP) (0) | 2024.01.08 |
[Python]1182번.부분수열의 합(브루트포스,백트레킹) (1) | 2024.01.04 |
[알고리즘/Python] itertools 라이브러리 사용법(조합,순열) (1) | 2024.01.04 |
[Python]10819번.차이를 최대로(브루트포스,백트레킹) (1) | 2024.01.03 |